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고려사6

세계 최강 몽골군의 총사령관을 쓰러트린 김윤후 장군 https://youtu.be/DsHw-O_e6dA 이번 시간에는 대몽항쟁 시기 몽골군에 맞서 2차례 큰 승리를 거두고, 몽골군 총사령관 살리타이까지 전사시킨 김윤후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몽골의 침입 1231년, 몽골 사신 저고여 피살 사건(누가 죽였는지는 알 수 없음)을 구실로 몽골은 살리타이를 보내 고려를 침략하였고, 고려는 이에 맞서 귀주성과 동선역 등지에서 승리하였으나 대집성이 이끄는 고려의 중앙군이 안북성 전투에서 대패하면서 수도인 개경이 위협에 처하자 당시 고려의 왕이었던 고종(고려 23대 왕)은 몽골과 강화를 맺어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였습니다. 귀주성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8 12명의 결사대로 .. 2021. 9. 20.
고려의 1차 여진정벌 이번 시간에는 고려의 1차 여진정벌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lefc3hyg-FM 거란의 1ㆍ2ㆍ3차 침입을 성공적으로 막아낸 고려는 주변 국가들로부터 얕볼 수 없는 나라로 인식되었고, 현종 시기부터 100년이 넘는 전성기를 구가하는 중이었습니다. 거란의 침입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16 고려와 거란의 3차 전쟁, 귀주대첩 https://youtu.be/2Ngd-h8D5kE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3차 침입과 귀주대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고려는 993년의 거란의 1차 침입과 1010년의 2차 침입을 연이어 막아내었고, 2차 침입 때 거란군의 회 historicalhistor.. 2021. 8. 8.
고려와 거란의 3차 전쟁, 귀주대첩 https://youtu.be/2Ngd-h8D5kE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3차 침입과 귀주대첩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고려는 993년의 거란의 1차 침입과 1010년의 2차 침입을 연이어 막아내었고, 2차 침입 때 거란군의 회군 조건으로 고려는 강동 6주(흥화진, 용주, 통주, 철주, 귀주, 곽주)의 반환과 왕의 입조를 약속했으나 2가지 모두 이행하지 않았습니다. 거란의 3차 침입 이전의 상황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15 거란의 2차 침입과 전쟁영웅들의 등장 https://youtu.be/FsL4I__gyeQ 지난 시간의 거란의 1차 침입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2차 침입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거란의 2차 침.. 2021. 8. 7.
거란의 2차 침입과 전쟁영웅들의 등장 https://youtu.be/FsL4I__gyeQ 지난 시간의 거란의 1차 침입에 이어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2차 침입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거란의 2차 침입을 다루기에 앞서 지난 시간에 대한 설명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14 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의 외교담판 https://youtu.be/IwuBxmN-Ktk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고려 1차 침입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926년에 발해가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한 후 고려로 망명해오는 유민들을 왕건(고려의 태조)은 후하게 대 historicalhistory.tistory.com 993년에 거란의 1차 침입이 있었으나 서희의 외교담판을 통해 요나라(거란)는 군.. 2021. 8. 6.
거란의 1차 침입과 서희의 외교담판 https://youtu.be/IwuBxmN-Ktk 이번 시간에는 거란의 고려 1차 침입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926년에 발해가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한 후 고려로 망명해오는 유민들을 왕건(고려의 태조)은 후하게 대접하였습니다. 이후 942년에는 요 태종(거란의 6대 황제)이 국경을 접하게 된 고려와 통교하기 위해 사신과 낙타 50마리를 보냈는데 왕건은 사신 일행을 귀양 보내고 데려온 낙타는 만부교(개경(개성)의 보정문 안에 있는 다리) 밑에 묶어서 굶겨 죽이는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만부교 사건) 발해의 멸망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조해주시면 좋겠습니다.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6 발해는 왜 멸망했을까? https://youtu.be/QtCcFjkpg.. 2021. 8. 5.
12명의 결사대로 몽골군에 2번 승리한 김경손 장군 이번 시간에는 몽골의 침입 때 귀주성 전투와 이연년 형제의 난을 진압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운 김경손 장군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https://youtu.be/JYMtOOW9d-U | 몽골의 침입 1225년 1월, 몽골 사신 저고여의 피살 사건(고려에 사신으로 온 뒤 국경에서 누군가에 의해 피살됨)을 구실로 몽골의 오고타이 칸은 살리타이를 보내 고려를 침략하였고, 1231년 8월, 몽골군은 압록강을 지나 함신진과 철주성을 함락시켰습니다. 이후 몽골군이 정주까지 침입하자, 단 12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몽골군을 격퇴한 장군이 있었으니 당시 분도장군으로 근무하던 김경손 장군이었습니다. | 귀주성 전투 하지만 김경손 장군이 성에 돌아왔을 때는 이미 주민과 군사들이 모두 도망가버렸기 때문에 12명의 병사와 함.. 2021. 7.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