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로다 나가마사7

[임진왜란91] 직산 전투(2) 직산 전투에서 활약한 원숭이 기병!? | 직산 전투의 평가 [선조실록]에는 직산 전투에 대해 아래와 같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제독 접반사(중국 사신을 수행하며 접대하던 임시 관직) 장운익이 아뢰기를, 직산의 전쟁터로부터 돌아온 중국 병사가 말하기를 ‘천안과 직산 사이에서 뜻밖에도 왜적의 선봉이 모두 흰 옷을 입고 들판을 뒤덮어 오기에, 중국 병사들이 처음에는 조선 사람으로 생각하여 진격하지 않았다. 그런데 얼마 후에 왜적의 선봉이 먼저 포를 쏘므로 중국 병사들이 일시에 말을 달려 나가 시살하며 한참 동안 교전하였는데, 화살에 맞거나 곤봉에 맞아 죽은 왜적이 거의 5백∼6백 명에 이르렀고 수급은 30여 급을 베었으며 해 부총(부총병 해생)과 양 참정(참장 양등산)도 각각 손수 수급 2개를 베었다. 그런데 왜적이 산에 올라가 백기를 드니, 천안.. 2022. 6. 29.
[임진왜란90] 직산 전투(1) 일본군의 북상과 명군의 남하 | 일본군의 북상과 명군의 남하 황석산성을 함락시킨 일본 우군은 전주에서 일본 좌군과 합류한 후 승세를 타고 공주, 진천을 거쳐 북상하고 있었고, 그중 선봉대인 구로다 나가마사의 군대는 직산(충남 천안시 직산읍)까지 당도하였습니다. 이렇게 일본군이 다시 무서운 기세로 북상하자 일부 백성들은 피난을 갔으며, 조정에서는 또다시 파천(수도를 옮김)에 대한 논의가 있었을 정도로 두려움에 휩싸여 있었습니다. 이에 선조는 평양에 머물던 명나라 경리 양호에게 여러 차례 출병을 간청하였고, 양호는 날랜 기병을 선발하여 부총병 해생을 비롯해 참장 양등산, 유격장 우백영과 파귀 등에게 군사 2천을 보내 남진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들을 지원하기 위해 유격장 파새가 정병 2,000명을 거느리고 뒤를 이었습니다. | 직산 .. 2022. 6. 26.
[임진왜란88] 황석산성 전투(1) 포위망을 좁혀오는 일본군 | 일본군의 황석산성 포위 1597년 8월 16일, 우키타 히데이에가 이끄는 일본 좌군에 의해 남원성이 함락되었습니다. 같은 날, 모리 히데모토, 구로다 나가마사, 가토 기요마사 등이 이끄는 일본 우군의 73,700명이 황석산성(경남 함양군)에 다다랐습니다. 황석산성은 해발 1,190m의 고지를 따라 쌓은 높이 3m, 둘레 8.9km의 산성이며, 거창에서 *육십령을 넘어 전주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요충지였기 때문에 도체찰사 이원익이 지리적 중요성을 강조했던 곳이고, 이러한 이유로 일본군의 침입이 예상되었기 때문에 안음현감 곽준은 이원익의 지시에 따라 안음(함양군 안의면), 거창, 함양의 군사와 백성, 그리고 무기와 식량을 모두 황석산성으로 모으고 인근에 청야작전을 전개하였습니다. * 육십령 : 경남 .. 2022. 6. 19.
[임진왜란61] 행주대첩(2) 병력의 열세를 화력으로 극복하라! 일본군은 평양에서 한양으로 남하하는 명나라군을 벽제관에서 물리친 후 남쪽에서 한양으로 북상하던 조선군을 공격하기 위해 3만여 명의 병력을 7진으로 나누어 행주산성으로 진군하였습니다. 당시 행주산성에는 전라도 순찰사 권율이 이끄는 관군, 김천일의 의병, 처영의 승병을 합하여 3천여 명이 성을 지키고 있었습니다. 1593년 2월 12일, 묘시(오전 5시~7시)에 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의 부대가 1진을 맡아 성으로 접근하였습니다. 일본군이 몰려오자 조선군은 조총의 사정거리가 닿지 않는 곳에서 활을 쏘고, 변이중 화차와 신기전, 비격진천뢰와 석포까지 쏘아대니 고니시는 성벽에 접근도 못한 채 막대한 피해를 입고 물러났습니다. 1진이 후퇴하자 일본군은 2진을 맡은 이시다 미츠나리가 군대를 이끌고 행주산성으로 .. 2022. 1. 8.
[임진왜란50] 경상우병사 유숭인의 항쟁! 노현ㆍ창원성 전투 | 일본 제3군의 진군 1592년 9월, 일본 제3군 선봉장 구로다 나가마사의 군대는 북쪽의 황해도에서 이정암의 군대와 싸웠고, 남쪽에서는 2만의 병력이 경상도의 완전 점령과 전라도로 진출하기 위해 창원으로 진군하였습니다. 이정암의 연안성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88 [임진왜란46] 이정암의 황해도 방어 작전! 연안성 전투 5월 18일, 일본 제2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는 김명원과 한응인이 지키던 임진강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임진강을 건넜습니다. 임진강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 historicalhistory.tistory.com 당시 창원성을 수비하던 경상우병사 .. 2021. 12. 13.
[임진왜란46] 이정암의 황해도 방어 작전! 연안성 전투 5월 18일, 일본 제2군 선봉장 가토 기요마사는 김명원과 한응인이 지키던 임진강 방어선을 무너뜨리고 임진강을 건넜습니다. 임진강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3 [임진왜란11] 거듭된 실책! 임진강 전투 일본군은 1군 고니시 유키나가 부대가 평양으로(평안도로), 3군 구로다 나가마사가 황해도로, 2군 가토 기요마사가 함경도로, 4군 모리 요시나리는 강원도로 각각 진군하기로 정했고, 8군을 이끄 historicalhistory.tistory.com 가토의 다음 목표는 개성이었고, 개성은 개성유수 이정형과 그의 형이었던 이정암이 지키고 있었으나 별 피해도 주지 못하고 개성은 함락되었습니다. 이정암은 개성이 함락되기 전에 .. 2021. 12. 8.
[임진왜란19] 제1차 평양성 전투 한양에 제일 먼저 입성하고, 이어서 평안도로 북상하던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 제1군은 어느덧 평양 인근에 다다랐습니다. 하지만 평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동강을 건너야 했습니다. 한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한강을, 평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동강을... 그리고 강을 건너려면 배가 있어야 했지만 일본군은 배가 없었고, 조선군은 일본군이 오기 전에 배를 북쪽으로 이동시켜 놓았기 때문에 일전의 한강 전투 때처럼 양군은 대치하고 있었습니다. 한강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0 [임진왜란8] 선조의 파천과 한강 전투 https://youtu.be/30ESQmo0aSM 1592년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부산과 김해, 상주.. 2021. 10.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