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도 다카토라7

[임진왜란101] 일본군의 기습을 역기습으로 대처한다! 절이도해전 1598년 7월 16일,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과 그 휘하의 5천 군사가 고금도에서 이순신의 조선 수군과 합류하였고, 7월 18일, 도도 다카토라와 가토 요시아키는 전함 100여 척을 이끌고 고금도 공격을 시도했습니다. 하지만 일본 수군의 움직임은 사방에 깔린 탐망선에 의해 곧바로 이순신에게 보고되었고, 조선 수군은 적선이 당도하기 전에 고금도와 거금도 사이에 위치한 금당도로 진격하였습니다. 이때 일본 수군이 고금도로 올 수 있는 경로는 소록도와 거금도 사이의 길목을 통과하는 방법, 그리고 거금도와 금당도 사이의 길목을 통과하는 2가지 길이 있었기 때문에 이순신은 함대를 이 2곳에 나누어 배치해 일본군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7월 19일 새벽, 도도 다카토라의 일본 함대가 거금도와 소록도 사이의 .. 2022. 8. 3.
[임진왜란96] 명량대첩(3) 조선 수군의 반격 | 조선 수군의 철벽 방어와 뒤바뀌는 전황 조선 수군은 전투 초반, 대장선 1척의 분투에 이어 전투 중반, 이순신, 안위, 김응함의 판옥선 3척이 끝내 적의 공격을 다 막아냈고, 물살이 빠르기로 유명한 명량에서 역조류까지 견디자 적의 공격이 잠시 주춤해졌습니다. 거기다 산을 찍어누를 기세로 거칠게 흐르던 조류도 차츰 가라앉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때맞추어 이순신이 초요기를 올렸을 때도 뒷짐만 지고 있던 거제현령 안위와 중군장 김응함을 제외한 나머지 장수들이 드디어 합류하면서 아군의 사기가 높아져 드디어 조선 수군이 반격을 가할 기반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그런데도 전라우수사 김억추의 배만은 아직도 합류하지 않았고 전투가 끝날 때까지 멀리서 관망만 하고 있었습니다. 얼마 후 정오 무렵, 이제는 물살이 반대로 .. 2022. 7. 17.
[임진왜란94] 1척 vs 333척 극한의 컨트롤! 명량대첩(1) |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이순신의 삼도수군통제사 재부임 후 치러진 8월 27일의 어란포해전과 9월 7일의 벽파진해전으로 조선 수군은 일본군의 소규모 전선을 격퇴하는 데는 성공하였으나 뒤이어 다가올 333척의 대규모 선단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어란포해전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historicalhistory.tistory.com/134 [임진왜란92]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사옵니다! | 수군을 폐하라 칠천량해전의 패배로 조선 수군이 궤멸되고, 뒤이어 삼도수군통제사로 재부임 된 이순신은 칠천량해전의 보고를 접한 그 날부터 남쪽으로 내려가 흩어진 군사와 군수품을 모 historicalhistory.tistory.com 벽파진해전에 대해서는 아.. 2022. 7. 10.
[임진왜란82] 칠천량해전(2) 희망을 절망으로 바꾼 원균의 결단 | 아직은 희망이 있다, 그렇지만 원균 휘하에서는 절망뿐이었다. 지난 전투에서 보여준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무능한 행보로 많은 군사와 함대를 잃은 조선 수군은 매우 위축되었고, 지친 상태에 있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원균은 칠천량에 함대를 정박시키고는 인근에 척후선을 보내거나 경계병을 세우지도 않고 술에 찌들어있을 뿐이었습니다. * 칠천량 : 경남 거제시 하청면 실전리와 하청면 어온리 사이의 해협 그날 밤, 적선 2척이 아군 진영에 다가와 포를 쏘자 조선군 진영은 화들짝 놀라 혼란에 빠졌고, 제각기 도망치기에만 급급한 상황이 연출되었습니다. 7월 16일 5경(새벽 3시~5시)에 적들이 구름처럼 몰려들어 포를 쏘아 한밤을 놀라게 했다. 우리 수군은 이미 어찌할 수 없이 매우 급하게 되어 배를 멈추니 날랜 .. 2022. 5. 29.
[임진왜란81] 한국사 최악의 해전! 칠천량해전(1) | 원균의 자업자득 삼도수군통제사 원균의 지난 출정으로 적선 10척을 깨트렸으나 판옥선은 그보다 훨씬 많은 32척을 잃으면서 전임 통제사였던 이순신과는 180도 다른 성과를 보여주었습니다. 그런데도 원균은 이제 와서 부산포 출정이 불가하다며 말을 번복했고, 이순신이 군사에 관한 일을 의논하기 위해 만든 운주당에서 기생을 끼고 술을 퍼마시는 추태를 부렸습니다. 이에 화가 난 도원수 권율이 병사들이 보는 앞에서 원균에게 곤장을 쳤습니다. 그러자 원균은 분을 못 이겨 전 함대를 이끌고 출정에 나섰습니다. * 도원수 권율이 원균에게 곤장을 치고 출정을 강요하여 조선 수군을 사지(死地)로 밀어 넣었다는 의견도 있지만, 곤장을 친 이유는 원균이 지난 장계에서 자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된다면 부산포를 공격하여 적을 섬.. 2022. 3. 8.
[임진왜란45] 적의 본진에서 벌어진 양측의 총력전! 부산포해전 | 부산포 해전 8월 29일에서 9월 1일 사이의 *6차례 해전에서 모두 승리를 거두며 부산포로 진입하기 전 적의 기선을 완전히 제압한 조선 수군은 *장사진을 펼쳐 부산진 포구로 진입하였습니다. * 장림포, 화준구미, 서평포, 다대포, 절영도, 초량목 해전 * 장사진 : 함대를 뱀처럼 길게 늘어세우는 진법 당시 부산포에 정박해 있던 적선은 무려 470여 척으로, 지금까지 이순신이 물리친 적선의 수를 모두 합친 것보다도 훨씬 큰 규모였습니다. 게다가 부산포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자인 도요토미 히데카쓰, 한산도에서 무참피 패했으나 용인 전투에서는 1,600명으로 8만의 조선군을 패퇴시킨 와키자카 야스하루, 일본 센코쿠 시대에서 해전으로 이름을 날린 구키 요시타카, 그리고 도도 다카토라까지 쟁쟁한 인물들이.. 2021. 12. 6.
[임진왜란13] 거북선의 대활약! 사천해전 전라좌수사 이순신 장군은 1차 출정 때 전라좌수군과 경상우수군의 연합 함대에 합류하지 못한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전선과 합류하기 위해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5월 27일, 경상우수사 원균으로부터 "적선 10척이 사천에 있다" 라는 보고를 받고는 사천의 일본군을 공격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생각한 이순신은 이억기에게 먼저 출정할테니 뒤따라 합류해줄 것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내고는 출정 준비에 임하였습니다. 그렇게 이순신은 5월 29일, 1차 출정 때에는 제외됐던 거북선까지 동원하여 23척의 전함을 이끌고 2차 출정에 나섰으며, 노량에서 원균이 이끌고 온 판옥선 3척과 합류하여 사천(경남 사천시 용현면으로 추정)으로 향했습니다. 거북선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은 분은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 2021. 10.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