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도원수 김명원5

[임진왜란32] 조명연합군의 첫 전투! 제2차 평양성 전투 |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 실패 육지에서는 일본 제6군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군대가 전라도 점령에 실패했고, 바다에서는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한산도에서, 구키 요시타카와 가토 요시아키가 안골포에서 패퇴하면서 일본군의 전라도 진출은 수포로 돌아갔습니다. 임진왜란 시기 일본군의 전라도 공격에 대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category/%EC%9E%84%EC%A7%84%EC%99%9C%EB%9E%80/%EC%9D%BC%EB%B3%B8%EA%B5%B0%EC%9D%98%20%EC%A0%84%EB%9D%BC%EB%8F%84%20%EA%B3%B5%EA%B2%A9 이로써 평양까지 진출한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 제1군은 육지에서는 관군과 의병의.. 2021. 11. 19.
[임진왜란19] 제1차 평양성 전투 한양에 제일 먼저 입성하고, 이어서 평안도로 북상하던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 제1군은 어느덧 평양 인근에 다다랐습니다. 하지만 평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동강을 건너야 했습니다. 한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한강을, 평양으로 가기 위해서는 대동강을... 그리고 강을 건너려면 배가 있어야 했지만 일본군은 배가 없었고, 조선군은 일본군이 오기 전에 배를 북쪽으로 이동시켜 놓았기 때문에 일전의 한강 전투 때처럼 양군은 대치하고 있었습니다. 한강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0 [임진왜란8] 선조의 파천과 한강 전투 https://youtu.be/30ESQmo0aSM 1592년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부산과 김해, 상주.. 2021. 10. 31.
[임진왜란11] 거듭된 실책! 임진강 전투 https://youtu.be/DZsB1Pm05zI 일본군은 1군 고니시 유키나가 부대가 평양으로(평안도로), 3군 구로다 나가마사가 황해도로, 2군 가토 기요마사가 함경도로, 4군 모리 요시나리는 강원도로 각각 진군하기로 정했고, 8군을 이끄는 우키타 히데이에가 총대장으로 한양에 주둔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일본군은 바다에서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수군에게 패했고(옥포해전, 적진포해전, 합포해전), 육지에서는 신각 장군에게 해유령 전투에서 일격을 당하긴 했으나 여전히 건재했으며 북상은 계속되었습니다. 옥포해전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1 [임진왜란9] 조선군의 첫 승리! 옥포 해전 https://youtu.be/1IPxG.. 2021. 10. 19.
[임진왜란10] 조선 육군의 첫 승리! 해유령 전투 5월 2일, 도원수 김명원과 부원수 신각이 지키는 한강 방어선과 유도대장 이양원이 지키는 한양 도성은 겨우 소수의 군사가 헤엄쳐오는 것을 겁먹고 도망치면서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일본군에게 넘겨주었습니다. 한강 전투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0 [임진왜란8] 선조의 파천과 한강 전투 https://youtu.be/30ESQmo0aSM 1592년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부산과 김해, 상주가 연이어 무너졌고, 4월 28일에는 믿었던 신립마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대패하면서 조선 조정은 위기에 봉착 historicalhistory.tistory.com 5월 3일, 한양이 적의 수중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들은 선조.. 2021. 10. 18.
[임진왜란8] 선조의 파천과 한강 전투 https://youtu.be/30ESQmo0aSM 1592년 4월 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한 이후 부산과 김해, 상주가 연이어 무너졌고, 4월 28일에는 믿었던 신립마저 충주 탄금대 전투에서 대패하면서 조선 조정은 위기에 봉착합니다. 이미 신립에게 수도 한양을 방어하던 군사와 경군의 상당수를 보내주었던 터라 수도를 방어할 군사는 너무나도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 임금은 수도 한양을 버리고... 그래서 4월 29일, 선조와 조정 대신들은 몽진을 결정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종묘사직을 그대로 일본군에게 내줄 수는 없었기에 김명원을 도원수로, 신각을 부원수로 임명하여 천 명 남짓한 군사로 한강에 방어선을 구축하게 하였습니다. 또한, 우의정 이양원을 유도대장으로 삼아 한양 도성을 수비하게 하였으며, 전시 중에.. 2021. 10.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