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임진왜란

[임진왜란30] 우수한 무기와 탁월한 전략! 안골포 해전

by 역사채우기 2021. 11. 17.
반응형

7월 8일, 전라좌수사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은 한산도 앞바다에서 일본 수군 장수 와키자카 야스하루가 이끄는 *73척의 함대를 물리치는 대승을 거두었습니다. (한산도 대첩)

* 73척 중 47척 격침, 12척 나포, 14척은 퇴각

한산도에 펼쳐진 학의 날개(한산도 대첩,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중에서)

 

 

이는 지금까지 치렀던 해전보다 훨씬 더 큰 전과를 이룬 해전이었기에 장수와 병사들 모두 매우 기뻐했고, 승세를 타고 가덕도로 향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날이 저물고 역풍도 크게 불어서 인근에 정박해 있었는데 승리의 여운이 채 지나기도 전에 *안골포에 적선이 있다는 보고를 받게 되었습니다.

* 안골포 : 안쪽이 깊은 산골처럼 보인다는 뜻에서 안골포라 불리게 되었으며, 현재의 경남 창원시 진해구 청안동

안골포의 위치(출처 :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이제 부산도 얼마 남지 않았다.

 

 

일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와키자카 야스하루, 구키 요시타카, 가토 요시아키에게 서로 연합하여 조선 수군을 막을 것을 명령했었기 때문에 구키 요시타카가토 요시아키의 수군이 한산도에서의 패전을 보고받고 밀려오는 조선 수군을 막기 위해 출전했던 것이었습니다.

 

이순신은 이를 격퇴하기 위해 전라우수사 이억기에게 매복해 있다가 전투가 시작되면 공격해줄 것을 요청했고, 자신의 함대는 지난 해전처럼 학익진을 펼쳐 선봉에 서고, 경상우수사 원균에게는 후방에서 자신의 함대를 지원하도록 하였습니다.

 

 

7월 10일, 안골포 포구에는 대선 21척, 중선 15척, 소선 6척으로 적선 총 42척이 정박해있었고, 포구의 지세가 좁고 얕아서 출입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선을 유인해서 격멸시키려 했으나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함대가 한산도에서 어떻게 패했는지 알고 있던 일본 수군은 쉽사리 응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이순신은 진형을 *장사진으론 바꾼 후 함대를 여러 조로 편성하여 순번을 정한 뒤 총통과 장편전을 쏘며 공격하고 후퇴하기를 반복하니 일본군이 그제서야 공격해오기 시작했습니다.

사정거리의 중요성

* 장사진 : 병사 또는 함대를 한 줄로 길게 배치하는 진형

반응형

장사진을 펼쳐 공격하는 조선 수군(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중에서)

 

 

그러자 매복해있던 전라우수사 이억기의 함대가 합류하였고, 조선 수군은 적선 중 대선을 위주로 집중 공격하니 일본군은 바다에 빠져 죽는 자가 부지기수였습니다.

그래도 적장 구키 요시타카는 대장선을 중심으로 끝까지 저항하려 했으나 전투를 지속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잔여 병력을 이끌고 육지로 도망쳤습니다.

구키 요시타카(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중에서)

 

 

이때 이순신은 모든 적선을 격침시키고 남아있는 적까지 상륙하여 섬멸하고 싶었지만, 일본군이 배가 없어지면 육지에 있는 조선 백성들을 상대로 분풀이를 할 것이 자명했기에 일부 적선을 남겨두었고, 상륙 작전을 감행한다면 숨어있는 패잔병에 의해 아군이 피해를 볼 것을 우려했기에 적선 20여 척격침시킨 것에 만족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7월 11일 새벽, 야음을 틈타 일본군이 남은 전선을 이끌고 부산 쪽으로 도망가면서 전투는 종료되었습니다.

 

이 해전에서 조선 수군은 직접 확보한 수급은 250여 개이고, 물에 빠져 죽은 자까지 포함하여 수많은 일본군을 사살했으나 아군의 피해는 격침된 배는 없고, 이순신이 이끄는 전라좌수군의 피해는 전사 19명부상 114명이었습니다.

거기다 조선 수군 전체의 피해는 이보다 더 컸을 것이고, 원거리 무기를 주로 사용하는 조선 수군 특성상 야간에는 공격을 감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적선을 추격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 일본군에 비하면 조선군의 피해는 매우 적은 것이지만 옥포해전에서 조선군의 피해가 전사자 없이 부상자만 1명이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안골포 해전에서 조선군의 피해는 적지 않았습니다.

옥포해전에 대해서는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51
 

[임진왜란9] 조선군의 첫 승리! 옥포 해전

https://youtu.be/1IPxGjlc8kI | 이순신은 누구인가? 이순신은 1년 전만 해도 정읍 현감(종6품)으로 근무하며 일개 수령에 지나지 않았으나 전쟁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류성룡의 추천으로 품계를 몇 단계

historicalhistory.tistory.com

 

 

한편, 적장 구키 요시타카는 전투 도중 자신의 배에 날아든 대장군전을 잘 보관하고 있다가 임진왜란이 끝나고 귀국할 때도 챙겨갔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대장군전은 현존하는 대장군전 중 유일하게 남은 임진왜란 시기의 대장군전이 되었습니다.

대장군전이 장전된 천자총통(출처 : ko.wikipedia.org)

 

 

 

다음 시간에는 이순신의 3차 출정에 대한 성과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