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역사/임진왜란117 [임진왜란6] 탄금대 전투와 신립 장군의 전설 4월 13일에 부산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낸 고니시 유키나가의 일본 제1군은 14일에 부산진성을 함락시켰고 다음 날인 15일에는 다대포성과 동래성까지 함락시켰습니다. 그 이후로 후속 부대가 상륙하여 20일에는 구로다 나가마사의 일본 제3군이 김해성을 함락시켰으며, 같은 달 25일에는 고니시 유키나가가 상주에서 이일의 군대를 궤멸시키기에 이르렀습니다. 이때 상주에서 패한 이일은 일본군에게 쫓기면서 갑옷을 벗고 상투도 풀어버린 채 주야로 도망치다 가까스로 신립이 있는 충주에 다다랐습니다. 그 시기 일본군은 조선에는 조령, 죽령, 추풍령의 험한 산지가 있었기에 1군의 고니시 유키나가는 조령, 2군 가토 기요마사는 죽령, 3군 구로다 나가마사는 추풍령을 각각 넘어 도읍인 한양을 향해 진군하려 하였습니다. 한편, .. 2021. 10. 14. [임진왜란5] 상주 전투와 도망가는 관군 | 이번 전투 이길 수 있을까? 이일은 3백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대구로 향하려 했으나 당시 병조판서였던 홍여순은 무슨 일이든 자기 마음대로 처리하는 나쁜 성격을 갖고 있었습니다. 홍여순은 민간의 잡인들을 병적에 등록시켜 군대를 편성해 놓았고, 그 군대에는 서리와 유생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 * 서리 : 각 지방에서 근무하던 하급 관료 게다가 급하게 징집된 잡인들이 군사훈련을 제대로 받았을 리 없었으며, 무기 대신 책을 들고 군대에 차출되기 싫다며 호소하는 유생들이 소란을 피우기도 하였습니다. 일각에서는 이일이 북병사로 근무하던 시절 조산보만호 이순신의 거듭된 병력 증원 요청을 거절하여 녹둔도에서 큰 피해를 받게 한 원인을 제공하였고(녹둔도 전투), 그 책임을 뒤집어씌우려 했던 일을 알고있던 병사들이 이일.. 2021. 10. 13. [임진왜란3] 동래성 전투! 싸워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비켜주기는 어렵다 https://youtu.be/_sDBIdDCWys 1592년 4월 13일, 일본 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18,700명의 군사와 700척의 전함을 이끌고 부산 앞바다에 모습을 드러냈고 다음 날인 4월 14일, 상륙하여 부산진성을 공격하였습니다. 부산진성의 백성들과 수백의 군사들은 첨사 정발의 지휘 아래 죽기를 각오하고 맞섰으나 모두 전사하면서 성이 함락되었고, 4월 15일에는 서평포와 다대포를 침략한 일본군을 다대포첨사 윤흥신이 군민들과 함께 결사항전하였으나 다대포성 역시 함락되고 말았습니다. 이렇게 부산 일대에 교두보를 확보한 일본군은 동래성(현재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으로 향했습니다. 동래성은 앞서 전투를 치렀던 부산진성과 다대포성보다 규모가 큰 성이었고, 동래성을 지키는 장군은 동래부사 송상.. 2021. 10. 11. [임진왜란2] 다대포 첨사 윤흥신과 군민들의 항쟁! 다대포성 전투 1592년 4월 13일,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주도로 일본 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700척의 함대 18,7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부산을 침략하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습니다. 그렇게 일본군은 부산진성을 공격하였고, 부산진첨사 정발과 군민들은 무기와 병력의 절대적인 열세 속에서도 결사항전했으나 성이 함락되면서 성주를 포함한 군민 모두가 전멸당합니다. 이렇게 임진왜란의 첫번째 전투인 부산진성 전투는 일본군이 승리했고, 부산진성을 점령한 일본군은 서평포와 다대포로 진군하며 부산 각지로 세력을 넓히고 있었습니다. 그 중 다대포 성은 둘레가 약 541m, 높이가 3.9m의 석성으로 이루어져 있었고, 다대포 첨사 윤흥신은 거느리는 병사가 수백에 불과했으나 일본군의 공격에 어느 정도 대비가 되어있었습니다. 그랬.. 2021. 10. 10. [임진왜란1] 전쟁의 시작! 부산진성 전투 https://youtu.be/UhyYSoJbFRU 이번 시간부터는 임진왜란을 시리즈로 이어나가겠습니다.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건조하고 시험까지 모두 완료한 날이 1592년 4월 12일이었고, 우연인지 필연인지 1592년 4월 13일, 일본 제1군 선봉장 고니시 유키나가가 700척의 함대와 18,7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부산에 모습을 드러내면서 임진왜란이 발발하였습니다. 거북선에 대해 더 알고싶으시면 아래 게시물을 참고해주세요. https://historicalhistory.tistory.com/33 조선 최고의 돌격전함! 거북선 https://youtu.be/4bkZUX0zezw 이번 시간에는 조선 최고의 돌격전함인 거북선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태종 시기 첫 거북선 거북선은 조선 초기 141.. 2021. 10. 9. 이전 1 ··· 12 13 14 15 다음 반응형